반응형

1. 6차 전직

- 조건 : 260 레벨 이상

- 내용 : HEXA 매트릭스 추가 (HEXA 코어와 HEXA 스텟 추가) → 코강의 경우 전직업 동일한 갯수로 가능하도록 설계

            1) 마스터리 코어를 이용해 핵심 스킬들을 강화 가능

            2) 5차 스킬 성능을 강화하는 강화 코어

            3) 강력한 6차 스킬인 스킬 코어

            4) HEXA 스탯의 종류에는 보공, 크뎀, 방무, 데미지, 공/마, 주스텟 등 ...

             5) 솔 에르다 등장 - HEXA 매트릭스 코어를 획득하고 강화하는 재료

              6) 맥뎀 해제 : 1500억 → 7000억

              7) 260 레벨 달성 시 V 매트릭스 슬롯, 강화 포인트 전부 획득

 

2. 신규 지역 추가 및 기존 지역 레벨 분포 수정, 어센틱 심볼 추가

- 신규 지역 추가

- 기존 지역 레벨 분포 수정

- 어센틱 심볼 6종으로 확장

반응형

3. 보스 난이도 추가 및 익셉셔널 파츠 추가

4. 특수 스킬 반지(시드링)의 획득처 변경

- 기존 시드 컨텐츠에서 획득 가능하던 부분 삭제

- 보스 리워드로만 획득 가능 (리부트 너프)

 

5. 레벨업 경험치 감소 및 하이퍼버닝 260Lv

- 200Lv ~ 260Lv 필요 경험치 절반으로 감소

6. 몬스터 파크 추가 및 경험치 획득량 증가, 성장 속도 개선(심볼)

- 미궁, 리멘 추가 및 문브릿지 경험치 획득량 증가

- 익스트림 몬스터파크 경험치 획득량 대폭 증가(각 구간별 30~40% 증가)

- 일일퀘스트 경험치 증가 및 심볼 획득 수 증가

   1) 아케인 심볼 전 지역 20개씩

   2) 어센틱심볼 세르니움 20개, 아르크스 10개, 오디움 10개

   3) 어센틱 심볼 전 지역 드랍 및 어센틱 카탈리스크 추가

 

7. 여름방학 이벤트

- 기존 코인샵처럼 여러 캐릭 돌릴 필요 없이 접속만해도 얻을 수 있는 보상들과 주 3회 참여로 얻는 보상 구성

- 딸기농장과 유사한 이덴의 식량창고, 블래스트와 유사한 이덴 어드벤처 추가

8. 8월 말 업데이트에서 뉴네임 옥션(캐릭터 이름 거래가능) 이벤트 예정

- 경매를 통해 낙찰받는 방식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이탈리아 ~ 스위스 여행을 계획하고 있어서 5월부터 밀라노~도모도쏠라 구간 티켓을 트랜이탈리아 사이트에서 구매하려는데 계속 EC 버스만 뜨더라구요.

그래서 트랜이탈리아에 1:1 채팅으로 문의했더니 Summer Program이 6월 9일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라길래 무작정 기다렸으나.. 따로 공지가 뜬 건 없고, SBB 사이트를 확인하다가 유로시티 열차가 임시로 운행 중단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ㅠㅠ..

 

내용을 보시면 도모도쏠라를 통해서 밀라노를 가는 구간에 대해서 버스로 대체가 된다고 나와 있어요 ㅠㅠ..

 

기간은 2024년 6월 9일부터 9월 8일까지입니다.

 

또한 아래를 보시면 EuroCity rail이 EC000에 해당하는 버스로 교체된다고 나와있어요.

버스 번호가 000인건 아니고 , 트랜이탈리아에서 조회해보시면 버스마다 번호가 있지만 전부 해당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인걸로 보여요.

 

 

버스로 바뀌는건 알겠는데, 그럼 도대체 버스는 어디서 타야할까요?

이 또한 정보가 나와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여행 계획 중이신 분들은 참고하셔서 환승 시간도 조금 넉넉하게 예약하시길 바래요 :)

 

<도모도쏠라 버스 탑승 장소>

<밀라노 버스 탑승 장소>

 

그럼 모두 즐거운 여행 되세요 :)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본 포스팅은 GitLab 가입 후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된 이후 단계부터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1. 우선 git을 설치해줍니다.

 

Git - Downloading Package

Downloading Git Now What? Now that you have downloaded Git, it's time to start using it.

git-scm.com

 

2. Git CMD를 실행 > GitLab과 연동할 폴더를 생성하고 해당 경로로 커맨드 Directory를 이동해줍니다.

 

* cmd 기본 명령어 ( 명령 프롬프트(Window키 + R 누르고 cmd 입력하면 실행 가능) )

<파일 목록 명령어> 윈도우 : dir / MacOS : ls

<폴더 이동 명령어> cd(change directory)

 

1) 유저 정보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당신의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당신의 email"

2) git directory initializing

git init

3) git pull을 이용해 gitlab과 현재 폴더의 sync 진행, 이걸 해줘야 나중에 push가 가능합니다.

 git pull https://생성한 프로젝트 url

여기에 계정 정보를 입력!

 

이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문제 해결은 Access Token을 이용해서 해결했는데요 완료하면 아래와 같이 뜹니다.

[Access Token] Gitlab에서 Edit Profile로 들어가면 Access Tokens가 있습니다.

여기서 Token을 하나 생성해주시면 되는데, api는 체크를 해주시면 됩니다.

해당 토큰을 복사해서 암호쪽에 입력해주시면 정상 동작됩니다.

 

해당 폴더에 ReadMe 파일이 생성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remote 설정

git remote add origin https://프로젝트 url

5) 기본 설정은 완료되었으니, 현재 폴더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파일을 업로드

git add .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git push -e origin master

만약 push 과정에서 오류메시지가 아래와 같이 나온다면 원격 저장소와 로컬 폴더 사이에 sync 문제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3)의 git pull 부터 다시 진행하면 됩니다.

hint: Updates were rejected because the tip of your current branch is behind
hint: its remote counterpart. Integrate the remote changes (e.g.
hint: 'git pull ...') before pushing again.
hint: See the 'Note about fast-forwards' in 'git push --help' for details.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티스토리 본문 영역에 노출되는 태그를 숨기는 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자, 그럼 시작해볼까요?

 

1. 블로그 설정의 [꾸미기] - [스킨 편집] 내에 html 편집으로 들어가주세요.

크롬 상에서 label을 확인하고 진행하셔도 됩니다 :)

2. html 코드의 <body> ~ </body> 영역 내에서 치환자 을 찾아주세요.

3. 코드를 삭제하셔도 되지만, 다시 tag를 표출하고 싶으실 수도 있기 때문에 주석 처리를 할거에요.

html에서 주석 처리는 주석 처리를 하려는 라인 앞과 뒤에 각각 <!--와 -->를 넣어주시면 주석 처리 완료!

그런데 tag_label을 검색해보시면 두 군데 존재해서 주석 처리를 해보고 적용 화면을 꼭 확인해주셔야해요!

 

그럼 방문하신 모든 분들 좋은 하루 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가 기존에 운영하던 블로그는 신규 글 추가시 New 아이콘이 주황색으로 표기가 되었는데 이상하게 지금 블로그는 회색으로 표기가 되네요..

 

그래서 코드를 까보았지만 img src의 url이 입력되는 위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 여기 저기를 찾아본 결과..

 

우선 크롬에서 찾은 경로로 들어가 이미지를 저장해주었습니다.

그리고, 해당 이미지를 스킨편집>파일업로드에 추가해주었어요.( 파일명: new_ico_5.gif )

아래를 클릭해서 다운 받으셔도 됩니다 :)

 

css 중간에 아래 코드를 넣어주고

img.va {vertical-align: vaseline;}

html 가장 하단 </body> 바로 위에 아래 스크립트를 넣어주었습니다.

<script>
$('img[alt="N"]').each(function(){$(this).replaceWith('<img src="./images/new_ico_5.gif" class="va">');
});
</script>

 

이렇게하니 카테고리 쪽만 변경이 되더라구요.

그리고 이렇게 변경을 하면 웹이 표시되면서 회색 N 표시를 주황색 N으로 대체하는 것이기 때문에 뭔가 로드도 더 걸릴 것 같아요.

 

그래서 코드를 지우고 css에 아래의 한 줄 코드를 넣으니 약간 이상하지만 변경이 되었네요.

코드 자체는 new_ico_1이 포함이 되어 있으면 오른쪽 필터처럼 변경한다는 내용이에요!

img[src*="new_ico_1"]{filter: sepia(30%) hue-rotate(-20deg) saturate(2500%) contrast(200%);}

여기서 sepia는 밝기, hue-rotate는 색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sepia와 hue-rotate, saturate 값을 변경해서 제가 마음에 드는 색상과 느낌으로 바꿨는데요.

이를 잘못 조절하시면 카테고리 말고 포스팅 목록에 뜨는 N이 이상하게 찌그러지게 되니까 원하시는 모양으로 바꿔가면서 확인해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방문하신 모든 분들 좋은 하루 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번 코드블럭 관련 두 가지 포스팅 이후 로블록스 코드 스크립트를 작성하려고 보니, 해당 언어가 코드블럭에서 선택이 안되어,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사용하려는 코드는 아래 코드에요.

딱 봐도 하이라이트가 제대로 안 되고 있음을 알 수 있겠죠?

 

자, 그럼 변경해볼까요?

 

1. 코드 작성과 원하는 언어 체크

원하는 언어의 코드를 먼저 작성을 해주세요.

그리고 아래 경로에서 원하는 언어의 Class를 확인해주세요 :)

 

GitHub - highlightjs/highlight.js: JavaScript syntax highlighter with language auto-detection and zero dependencies.

JavaScript syntax highlighter with language auto-detection and zero dependencies. - GitHub - highlightjs/highlight.js: JavaScript syntax highlighter with language auto-detection and zero dependencies.

github.com

 

2. HTML 편집 모드 사용

원하는 코드를 작성했으면 현재 글 쓰기 에디터의 우측 상단의 기본모드를 HTML 편집 모드로 변경해줍니다.

HTML 모드에서 작성한 코드의 Class를 변경하고 싶은 부분 위치로 가면 아래와 같은 코드가 보일거에요.

여기서 class와 data-ke-language를 위에서 찾은 class 정보로 바꿔주면 됩니다.

그리고, 포스팅을 완료해서 아래 코드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하면 끝!

local platform = script.Parent

local function disappear()
	platform.CanCollide = false
	platform.Transparency = 1
end

local function appear()
	platform.CanCollide = true
	platform.Transparency = 0
end

while true do
	wait(3)
	disappear()
	wait(3)
	appear()	
end

 

깔끔하게 나오네요 ㅎㅎ

그럼 방문하신 모든 분들 좋은 하루 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번에 이어 코드블럭의 출력 모양을 좀 더 다듬어 보려고 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티스토리의 html, css 편집 탭을 이용해야 합니다 :D

 

지난 번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티스토리에 코드블럭과 하이라이트 기능을 이용하여 코드 입력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티스토리에 소스 코드를 입력하여 예쁘게 출력하는 법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자, 그럼 시작해볼까요? 티스토리 글쓰기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코드블럭을

codebrunch.tistory.com

 

자, 그럼 시작해볼까요?

 

우선, 크롬을 이용해서 테스트 포스팅을 만들고 코드블럭에 해당하는 코드 위치를 확인해보니 <pre id=.. 부분이 외부 블럭인 것 같네요.

<code class="hljs">... 부분은 내부 테마인 것 같아요.

그래서 블로그 설정에서 편집 툴로 돌아가서 css 내에서 pre를 검색해서 찾았습니다!

확인을 위해 padding 값을 먼저 1px로 바꿔볼까요?

코드블럭과 외부 테두리 박스 사이의 좌우 간격이 좁아진 것 같네요?

padding은 원래대로 돌려두고, border와 solid를 지우니까 좀 더 예뻐진 것 같습니다.

pre { padding: 10px; margin: 5px 0; max-width: 100%; overflow-x: auto; overflow-y: hidden; border: 1px solid #ddd; font: 12px/180% 'Lucida Console'; background-color: #fafafa; border-radius: 3px; }

위 코드는 수정 전 코드에요 :)

 

원래는 이것 저것 더 만져보면서 수정하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깔끔해보여서 여기까지하고 마무리했습니다.

 

html이나 css를 잘 모르시더라도 크롬에서 편집자 도구를 이용하시면 생각보다 쉽게 코드의 위치를 확인하실 수 있어요.

 

이를 활용하는 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html, css 포스팅에서 추가로 다룰게요 :)

 

그럼 방문하신 모든 분들 좋은 하루 되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